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ICD
- 전국대학생게임개발동아리연합회
- 개발공부
- AWS
- 캡스톤디자인프로젝트
- Redis
- 오블완
- 프로그래밍
- openAI API
- bastion host
- spring ai
- 체크인미팅
- 티스토리챌린지
- 42서울
- 백엔드개발자
- 게임개발동아리
- 도커
- Route53
- 라피신
- UNICON
- 프리티어
- 인프라
- UNIDEV
- 프롬프트엔지니어링
- EC2
- 스프링부트
- 생활코딩
- NAT gateway
- UNICON2023
- Spring boot
- Today
- Total
Hyun's Wonderwall
[백준 골드5] 2668번: 숫자고르기 - Java 본문
2668번: 숫자고르기
https://www.acmicpc.net/problem/2668
문제
세로 두 줄, 가로로 N개의 칸으로 이루어진 표가 있다. 첫째 줄의 각 칸에는 정수 1, 2, …, N이 차례대로 들어 있고 둘째 줄의 각 칸에는 1이상 N이하인 정수가 들어 있다. 첫째 줄에서 숫자를 적절히 뽑으면, 그 뽑힌 정수들이 이루는 집합과, 뽑힌 정수들의 바로 밑의 둘째 줄에 들어있는 정수들이 이루는 집합이 일치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정수들을 뽑되, 최대로 많이 뽑는 방법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N=7인 경우 아래와 같이 표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 경우에는 첫째 줄에서 1, 3, 5를 뽑는 것이 답이다. 첫째 줄의 1, 3, 5밑에는 각각 3, 1, 5가 있으며 두 집합은 일치한다. 이때 집합의 크기는 3이다. 만약 첫째 줄에서 1과 3을 뽑으면, 이들 바로 밑에는 정수 3과 1이 있으므로 두 집합이 일치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뽑힌 정수의 개수는 최대가 아니므로 답이 될 수 없다.
입력
첫째 줄에는 N(1≤N≤100)을 나타내는 정수 하나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는 표의 둘째 줄에 들어가는 정수들이 순서대로 한 줄에 하나씩 입력된다.
출력
첫째 줄에 뽑힌 정수들의 개수를 출력하고, 그 다음 줄부터는 뽑힌 정수들을 작은 수부터 큰 수의 순서로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7
3
1
1
5
5
4
6
예제 출력 1
3
1
3
5
풀이
문제의 집합이 일치한다는 말은
1 2 3 4
2 3 4 1
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로부터 유니온 파인드에서 부모 노드를 찾아가는 방식이 떠올라, 인덱스 하나씩 쭉 이어서 가서 확인하는 방식을 떠올렸다. (그래프 구조)
비효율적인 풀이
처음에 푼 풀이는 아래와 같은데 (정답은 맞았다)
for문을 두 번 순회해 O(n^2), list.contains()로 중복 체크가 O(n) => 최종 시간복잡도가 O(n^3) 이다. (소요 시간 104ms)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arr = new int[n];
for (int i=0; i<n; i++) {
arr[i] = Integer.parseInt(br.readLine()) - 1;
}
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
for(int i=0; i<n; i++) {
int start = i;
int end = arr[start];
List<Integer> candList = new ArrayList<>();
for (int j=0; j<n; j++) {
if (start == end) {
candList.add(end);
for (Integer in : candList) {
if (!list.contains(in))
list.add(in);
}
break;
} else {
candList.add(start);
end = arr[end];
}
}
}
System.out.println(list.size());
for(int i=0; i<list.size(); i++) {
System.out.println(list.get(i) + 1);
}
}
}
더 좋은 풀이
DFS 풀이가 더 효율일 것으로 판단되어 DFS로 다시 풀었다. (소요 시간 96ms)
새 코드에서는 값의 중복 확인이 필요없게 되었고, TreeSet<>()을 사용해 입력되는 정수를 자동 정렬했다.
visited 배열은 한 번이라도 방문한 정수를 표시하고, finished 배열은 해당 정수에 대한 DFS 탐색이 종료되었는지를 나타낸다.
조건 | 의미 | 사이클인가? |
visited == false | 처음 방문 | ❌ |
visited == true && finished == false | 현재 DFS 경로에서 다시 만남 | ✅ 사이클 발생 |
visited == true && finished == true | 과거 DFS에서 이미 처리됨 | ❌ 사이클 아님 |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arr;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boolean[] finished;
static Set<Integer> result = new TreeSet<>();
static void dfs(int curr) {
visited[curr] = true;
int next = arr[curr];
if (!visited[next]) {
dfs(next);
} else if (!finished[next]) {
extractCycle(next, curr);
}
finished[curr] = true;
}
static void extractCycle(int start, int end) {
int node = start;
result.add(node);
while (node != end) {
node = arr[node];
result.add(node);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arr = new int[n];
visited = new boolean[n];
finished = new boolean[n];
for (int i=0; i<n; i++) {
arr[i] = Integer.parseInt(br.readLine()) - 1;
}
for (int i=0; i<n; i++) {
if (!visited[i]) dfs(i);
}
System.out.println(result.size());
for (int num : result) {
System.out.println(num + 1);
}
}
}
'Study > 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골드5] 1092번: 배 - Java (0) | 2025.07.28 |
---|---|
[백준 실버2] 11724번: 연결 요소의 개수 - Java (2) | 2025.07.26 |
[백준 골드3] 2638번: 치즈 - Java (3) | 2025.07.26 |
[백준 골드1] 1175번: 배달 - Java (2) | 2025.07.24 |
[백준 골드5] 1107번: 리모컨 - Java (0) | 2025.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