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UNICON
- 백엔드개발자
- 스프링부트
- 프롬프트엔지니어링
- 인프라
- Redis
- 개발공부
- AWS
- EC2
- CICD
- 생활코딩
- 오블완
- 캡스톤디자인프로젝트
- Spring boot
- 프리티어
- Route53
- 프로그래밍
- spring ai
- UNICON2023
- 게임개발동아리
- 티스토리챌린지
- UNIDEV
- 전국대학생게임개발동아리연합회
- 라피신
- NAT gateway
- 체크인미팅
- openAI API
- 도커
- bastion host
- 42서울
- Today
- Total
Hyun's Wonderwall
[백준 골드2] 1655번: 가운데를 말해요 - Java 본문
1655번: 가운데를 말해요
https://www.acmicpc.net/problem/1655
문제
백준이는 동생에게 "가운데를 말해요" 게임을 가르쳐주고 있다. 백준이가 정수를 하나씩 외칠때마다 동생은 지금까지 백준이가 말한 수 중에서 중간값을 말해야 한다. 만약, 그동안 백준이가 외친 수의 개수가 짝수개라면 중간에 있는 두 수 중에서 작은 수를 말해야 한다.
예를 들어 백준이가 동생에게 1, 5, 2, 10, -99, 7, 5를 순서대로 외쳤다고 하면, 동생은 1, 1, 2, 2, 2, 2, 5를 차례대로 말해야 한다. 백준이가 외치는 수가 주어졌을 때, 동생이 말해야 하는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백준이가 외치는 정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그 다음 N줄에 걸쳐서 백준이가 외치는 정수가 차례대로 주어진다. 정수는 -1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한 줄에 하나씩 N줄에 걸쳐 백준이의 동생이 말해야 하는 수를 순서대로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7
1
5
2
10
-99
7
5
예제 출력 1
1
1
2
2
2
2
5
알고리즘: 자료 구조, 우선순위 큐
N의 범위가 최대 10만이다.
매번 데이터를 정렬하면 비효율적일 것이므로, 정렬된 자료구조인 힙을 이용하는 우선순위 큐 두 개를 사용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내림차순 우선순위 큐 smalls: 중앙값 이하의 값들을 저장
오름차순 우선순위 큐 bigs: 중앙값 초과의 값들을 저장 (*숫자 값이 아닌, 위치에 따른 초과를 위미)
smalls의 크기 >= bigs의 크기를 유지하며
중간의 원소를 bigs로 옮겨주는 방식으로 구현했다.
pq.peek()이 기억이 안 나서 첫 풀이는 다소 복잡하다.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PriorityQueue<Integer> smalls = new PriorityQueue<>(Collections.reverseOrder());
PriorityQueue<Integer> bigs = new PriorityQueue<>();
for(int i=0; i<n; i++){
int input = Integer.parseInt(br.readLine());
if(smalls.isEmpty()){
smalls.add(input);
} else if (smalls.size()<=bigs.size()){
int s=smalls.poll();
if(s>=input) {
smalls.add(input);
smalls.add(s);
} else {
int b=bigs.poll();
if(b>=input){
smalls.add(input);
smalls.add(s);
bigs.add(b);
} else {
smalls.add(s);
smalls.add(b);
bigs.add(input);
}
}
} else {
int s=smalls.poll();
if(s>=input) {
smalls.add(input);
bigs.add(s);
} else {
smalls.add(s);
bigs.add(input);
}
}
int sTop = smalls.poll();
System.out.println(sTop);
smalls.add(sTop);
}
}
}
삽입 후 균형 조정 방식으로 개선한 풀이는 다음과 같다.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PriorityQueue<Integer> smalls = new PriorityQueue<>(Collections.reverseOrder());
PriorityQueue<Integer> bigs = new PriorityQueue<>();
for(int i=0; i<n; i++){
int input = Integer.parseInt(br.readLine());
// 삽입
if (smalls.isEmpty() || input <= smalls.peek()) {
smalls.offer(input);
} else {
bigs.offer(input);
}
// 균형 조정
if (smalls.size() > bigs.size()+1) {
bigs.offer(smalls.poll());
} else if (bigs.size() > smalls.size()) {
smalls.offer(bigs.poll());
}
System.out.println(smalls.peek());
}
}
}
'Study > 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 it!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자바 편] 05. 정렬 (0) | 2025.10.06 |
---|---|
[Do it!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 자바 편] 04. 자료구조 (0) | 2025.09.25 |
[백준 골드3] 1520번: 내리막 길 - Python (2) | 2025.08.17 |
[백준 골드4] 2240번: 자두나무 - Java (2) | 2025.08.17 |
[백준 실버3] 14501번: 퇴사 - Java (3) | 2025.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