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위키북스
- 스프링부트
- 인디게임
- RDS
- 프리티어
- 도커
- 42서울
- UNIDEV
- EC2
- 백엔드
- 생활코딩
- UNICON2023
- 온라인테스트
- 백엔드개발자
- Developer
- AWS
- UNICON
- 개발공부
- 스프링
- 자바개발자
- 라피신
- 배포
- 티스토리챌린지
- 프로그래밍
- 전국대학생게임개발동아리연합회
- 인프라
- 오블완
- 체크인미팅
- 게임개발동아리
- CICD
- Today
- Total
Hyun's Wonderwall
2. 나의 20대 이해하기 (pt.1, pt.2) 본문
<삶을 위한 멘탈코칭> 2단원 정리
● Human Life Cycle : 영아기->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성인기->중년기->노년기
- 초기 성인기: 20~30대에 해당하는 시기로 인생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 독립적인 인간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해야 하는 과도기적인 시기. 사회적 책임과 역할, 권한에 대한 요구가 급격하게 높아지는 시기. 새로운 삶의 구조를 모색해야 하는 부담을 갖는 시기. 신체적 성장과 성숙이 완성되어 신체 건강에 있어서는 최상의 상태에 있지만 건강관리는 가장 소홀히 하는 시기 (찔린다...)
●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by Erikson : 자아 발달을 8단계로 구분, 각 단계마다 추구하는 발달 과업이 있다고 주장. 인간은 '생물학적 성숙'과 '사회에서 발달 단계별로 요구하는 과제'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심리사회적으로 발달됨.
-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자기 자신이 되는 것, '자기 형성(formation of self)'이라고 보았음.
*가장 중요한 2가지 (<>는 심리사회적 위기, 발달 과제)
[12-20세] : <정체감 vs 역할 혼란>
ㄴ"나는 누구인가?" 청소년은 기본적인 사회적/직업적 정체감을 확립해야 함. 이 시기의 중요한 사회적 대리인은 또래집단.
[20-40세] : <친밀성 vs 고립감>
ㄴ이 단계의 1차적인 과업: 강력한 우정을 만들고 타인에게 사랑과 동료애를 갖는것.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을 못 형성하면 외로움, 고립감. 이 시기의 중요한 사회적 대리인은 연인, 배우자, 친한 친구.
● Levinson's seasons of life : 생애 구조의 변화에 따라 인생의 주기를 4개 계절로 구분함. 각 시대에는 단걔가 존재, 그 과정 속에 과도기가 존재.
- 개인적 문화적 차이 있으나 결국 모든 사람들이 동일한 발달 시기를 거친다고 주장함(보편적 인생 주기)
22~40세- 성인 초기(성인을 세분화) : 신체의 활력과 정신적 특성이 최고수준으로 발달하는 '인생의 절정기'.
● 성인에 대한 2000년대 이후) 3가지 공통적인 기준:
1. 스스로 책임질 수 있는가, 2. 의사결정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가, 3. 재정적으로 독립하였는가
Why? 성인에 대한 기준이 사회, 제도적인 것에서 심리적인 것으로 바뀜.
대학 진학률 증가와 평생교육 필요성 증대 -> 교육 완료 시점이 늦춰짐
초혼 연령의 상승, 저출산문제.. 후기 산업사회. 성인에 대한 전통적 지표 사용불가.
● 청년기(by Arnett): 성인에 대한 기준이 심리적인 것으로 변화하면서 매우 주관적이고 개인주의적 요소에 의해서 결정되게 되었다. 대략적인 연령대는 18~25세.
● 청년기의 특징
1. 정체적 탐색의 시기
2. 불안정의 시기
3. 자기 초점의 시기
4. 과도기적 시기
5. 가능성의 시기
1. 정체성 탐색의 시기
- 청소년기 주요 과제: 정체성 탐색과 형성, 청년기는 청소년기에 비해 부모의 간섭이 덜하고, 중기/후기 성인기 비해서는
의무와 책임감이 덜한 시기. 일종의 심리 사회학적 유예기.
- MZ세대는 그 어느 세대보다 자신에 대해 알고자 하는 욕구가 크다. 이제는 소속된 조직이나 집단이 나를 정의하지 못하기 때문에 스스로에 대해 더욱 알고자 하는 욕구가 커짐 (MBTI 유행 등..)
2. 사이에 낀 시기
- 청소년기와 성인초기에 걸쳐 있는 나이이자 스스로도 성인이라고 확실히 응답하기 어려운 시기. 발달의 전환기로서 혼한스럽기도 하지만 동리에 심리사회학적 유예기로, 많은 도전과 탐색을 해볼 수 있는 시기. (18-25세)
3. 불안정의 시기
- 완전한 성인기도 완전한 청소년기도 아닌 시기
- 탐색의 시기는 곧 불안정의 시기이도 함 (대학생의 전과, 직장에서의 이직)
- <불확실한 상황에서 활성화되는 뇌 부위>: 전대상피질, 안와전두피질 (불안을 느끼는 뇌의 영역)
(1)전대상피질: 불안과 공포를 담당하는 영역
(2)안와전두피질: 인간의 정서적 판단을 담당함
* 위험에 관한 정보처리에서 활성화 되는 영역으로, 안와전두피질이 손상--> 의사결정에 어려움 겪음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 모호한 상황을 부정적으로 해석, 반응하는 특성의 사람들-> 불확실성에 집중하여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게 되고 걱정이나 불안으로 이어짐
- 이 사람의 특징은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단어들을 더 잘 회상하며, 애매한 정보에 대해 더 위협적인 것으로 해석하고 스스로 감당할 수 없는 것으로 지각함.
- 불확실한 상황에서 불안이 생기면 자율신경계의 작동으로 여러 증상들이 유발 -> 안정된 상태의 증상과 다른 증상들로 불안을 가중시키는 상황이 될 수 있음
- 불확실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불쾌하고 불안한 상태를 경험하는데 -> 이는 회피 반응으로 이어진다.
● 경험적 회피
1) 원하지 않는 사건에 관한 생각, 느낌, 감각에 대해 과도하게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성
2) 사건들을 기꺼이 경험하기를 꺼려함
3) 사건을 통제하거나 혹을 회피하려는 노력
● 회피에 관한 연구 결과
- 사적 사건을 억제하려는 시도는 오히려 사적 사건에 대한 접근성을 증가시킨다. 회피의 역설적 효과
- 정서 유발 장면을 보여주고 정서를 감추도록 지시한 연구들에서는, 정서를 감춘 집단의 생리적 각성 수준이 증가한다. 자율신경계통의 생리적 반응 증가.
- 정서적 자극을 회피하는 것은 결국 자극 관련 불안감이나 불편감을 증가시킴
● 스포츠 현장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 걱정, 불안이랑 연관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경쟁 특성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 경기력 향상에 부정적 영향 미칠 수 있음. 경험적 회피의 매개 효과.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불안
- 최근에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사회불안'(불안의 기제 중 하나)과 관련된 주요 변인으로 연구되고 있음.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그 모호함으로 인해 불안과 관련된 부적응을 겪을 가능성이 높음.
●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 대학생 불안감) 대인관계 이성관계 진로 취업 등 불확실한 미래와 상황 관해
- 대학생도 미래 불확실성 대한 인내력 부족하다면 불확실성을 위협적으로 느끼고 불안, 우울, 걱정거리와 같은 부정적 정서 경험할 가능성 높
● 진로결정수준
- 진로 결정 여부 뿐 아니라 진행 수준과 확고한 정도를 포함하는 개념 (미래 종사 직업 선택에 대한 확신의 정도: 진로 미결정~진로 결정 사이)
- 진로선택은 중요한 발달과업-> 현재/미래 생활에 대한 적응 및 체계적 준비과정, 정서적 독립, 자아정체감의 확립
- 진로결정은 인지, 사고, 정서, 태도 등의 요소가 모두 연관됨
- 합리적인 진로결정 할 수 있도록 불확실성에 적절히 대처하는 방안 마련 필요.
- 진로 선택과정에서 불확실함을 마주했을 때 인내력이 부족할수록 진로결정 자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며, 결국 진로결정수준을 낮추게 함
-> 모호한 상황을 인내하지 못하는 경우 진로결정 수준이 낮아지게 됨.
+ 갓생 열풍 사례: 큰 목표를 세워 좌절하기보다는 일상에서 노력하면 얻을 수 있는 확실한 성공에 초점을 맞추며 삶의 의미를 찾는 방식으로 현실에 적응하고 있음
+ Self-Binding 전략: 루틴을 실천할 수 밖에 없는 환경에 처하도록 자신을 구속하는 자기 묶기 전략. covid 19-> 자유도 높아짐-> 사람들 불안감도 높아짐. 구조화되지 않은 일상 속에서 오히려 스트레스 받으며 자신이 시간을 잘 통제하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짐. 조력자 중요.
● 구조화된 일과 가설
- 촘촘하게 짜여진 하루 일과가 신체적, 정신적으로 에너지 줌->긍정적으로 작용
- 이것이 무너지면 비만, 수면자앵, 우울등 여러 신체적 정신적 문제까지 야기될 수 있음
- 규칙적인 생활, 구조화된 라이프스타일을 가질 때 삶은 보다 예측 가능해짐->스트레스 감소->자기 통제감 상승
+ 근무 형태 (지정 좌석 오피스 출근, 하이브리드>>재택)
----
4. 가능성의 시기
- 다양한 탐색과 도전이 가능한 시기 (큰 희망과 기대를 갖는 시기)
- 부모의 간섭으로부터 멀어지고, 새로운 책임과 의무에서는 자유로운 상황이므로 삶을 바꿀 수 있는 충분한 기회의 시기
- 많은 가능성이 열려 있으며, 한편으로는 삶의 방향이 결정되지 않은 시기
5. 자기중심의 시기
- 아동기와 청소년기 뿐만 아니라 청년기도 자기중심성의 시기
- 청년기의 자기중심성은 극복해야 할 인지적, 정서적 미숙함, 미성숙함이 아니라 지극히 정상적인 것이며 청년기 발달에 있어 필수적인 것이다. 전적으로 자기 자신에게 전념할 수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스스로에게 주의를 집중하는 것은 정상적이고 건강한 발달 상태이다. 건강한 성인으로 발달하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Subjects > 삶을 위한 멘탈 코칭'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자신감(Self Confidence) - 자신감, 심상 (3) | 2023.10.25 |
---|---|
4. 동기, 목표설정 (1) | 2023.10.25 |
3. 각성과 불안 (1) | 2023.10.25 |
1. 스포츠와 멘탈 코칭 - 스포츠 현장에서의 심리 지원 현황, 멘탈 코칭의 이해 (0) | 2023.10.24 |